반응형
지원요청 및 신고자
긴급지원대상자와 친족, 그 밖의 관계인은 구술 또는 서면 등으로 관할 시장·군수·구청장에게 긴급복지지원법에따른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
누구든지 긴급지원대상자를 발견한 경우에는 관할 시장·군수·구청장에게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.
신청자격
위기상황(사전확인)+소득, 재산(사후확인)
-주소득자의 사망, 휴·폐업, 실직 등으로 생계가 어렵거나, 중한 질병으로 수술 받을 때, 화재·경매 등으로 거주지에서 생활 곤란 등
-최저생계비 150%이하(4인기준 245만원)(단, 245만 원)(단,생계지원은 120%이하(4인기준 196만원))
-일반재산(주택, 토지 등) : 대도시 1억 3,500만원, 중소도시 8,500만원, 농·어촌 7,250만원
-금융재산(현금, 예금, 주식 등) : 300만 원 이하(단, 주거지원은 500만원 이하)
혜택내용
가구가 처한 위기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원 종류 결정
• 지원 종류 | • 지원내용 | • 지원횟수 |
• 생계지원 | • 108만원(4인기준/월) | • 최대 6개월 |
• 의료지원 | • 300만원 이내(1회, 본인부담금 및 일부비급여) | • 300만원 추가가능 |
• 주거지원 | • 59만원 이내(4인기준/월, 대도시) | • 최대 12개월 |
• 사회복지시설이용지원 | • 134만원 이내(4인기준/월) | • 최대 6개월 |
• 교육지원 | • 초등 21만원, 중등 33만원, 고등 40만원 (고등학교 수업료·입학금 포함 가능) | • 최대 2회 |
• 해산비지원 | • 60만원 | • 1회 |
• 장제비지원 | • 75만원 | • 1회 |
• 연료비지원 | • 89천원 이내(월, 10∼3월) | • 최대 6개월 |
• 전기요금지원 | • 50만원 이내 | • 1회 |
신고의무자
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진료·상담 등 직무수행 과정에서 긴급지원대상자가 있음을 알게 된 경우 관할시장·군수·구청장에게 이를 신고하고, 긴급지원대상자가 신속하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-의료법에 따른 의료기관의 종사자
-유아교육법, 초중등교육법, 또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교원, 직원, 산학겸임교사, 강사
-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
-국가공무원법 또는 지방공무원에 따른 공무원
-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따른 활동지원기관의 장 및 그 종사자와 장애인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른 활동지원인력
-학원의 설립,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른 학원의 운영자·강사·직원 및 같은 법 제14조에 따른 교습소의 교습자·직원
-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과 그 종사자
-청소년 기본법 제3조제6호에 따른 청소년시설 및 같은 조 제8호에 따른 청소년단체의 장과 그 종사자
-청소년 보호법 제35조에 따른 청소년 보호·재활센터의 장과 그 종사자
-평생교육법 제2조에 따른 평생교육기관의 장과 그 종사자
-지방자치법 제4조의2제4항에 따른 행정리의 이장 및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행정동의 하부조직으로 두는 통의통장
-별정우체국법에 따른 별정우체국의 직원
-동·리의 새마을지도자 및 부녀회장
신청방법
주소지의 시·군·구청, 보건복지부 콜센터(국번없이 129)으로 긴급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.
연락처
복지대표포털 복지로(www.bokjiro.go.kr), 보건복지부 홈페이지(www.mw.go.kr)에서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.
반응형
'복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주민등록등본(초본) 및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(0) | 2023.09.25 |
---|---|
📌 긴급지원대상자 될 수 있을까요? (0) | 2023.09.23 |